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소년 맞춤 통장과 앱 추천: 한도 문제 해결법
- 청소년이 사용할 수 있는 통장이나 금융 앱을 찾고 계시는군요. 특히 보유 한도 50만 원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셨을 텐데요. 이런 문제는 청소년 대상 금융 서비스에 한도 제한이 걸려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한도 제한을 넘어서 저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아래를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가장 맞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 목 차 > 1. 은행 방문 후 저축형 통장 개설 2. 청소년 금융 앱과 CMA 계좌 활용 3. 캐시 카드형 대체 서비스 4. 부모님 계좌와 연결하여 저축 |
1. 은행 방문 후 저축형 통장 개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부모님과 함께 은행을 방문해 저축용 통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청소년이라도 부모님의 동의와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면 한도가 없는 통장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농협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 가능합니다.
- 필요한 서류:
- 부모님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주민센터나 민원24 사이트에서 발급 가능)
- 본인의 신분증 (학생증이나 청소년증, 주민등록증 등)
은행 통장은 보유 한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저축을 목적으로 하기에 딱 좋습니다. 특히, 통장에 돈을 모아둘 계획이라면 적금 상품을 함께 고려해 보세요. 청소년 전용 적금 상품은 금리도 높아 저축 습관을 들이기에 좋습니다.
2. 청소년 금융 앱과 CMA 계좌 활용
청소년 전용 앱인 카카오뱅크 미니와 토스 청소년은 편리하지만, 보유 한도가 50만 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 한도를 넘어서 사용하려면 증권사의 CMA 계좌를 고려해 보세요. CMA 계좌는 일반 통장과 다르게 이자가 붙는 투자형 계좌지만, 저축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MA 계좌란?
CMA는 "종합자산관리계좌"의 줄임말로, 돈을 맡겨두면 자동으로 단기 투자 상품에 운용되어 소액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계좌입니다. 청소년도 부모님의 동의 하에 개설 가능합니다. - 추천 증권사: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KB증권
증권사마다 청소년 전용 상품이 다를 수 있으니, 부모님과 함께 알아보세요. 특히 한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점이 장점입니다. - 개설 방법:
- 부모님 동반 방문
- 증권사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계좌 개설 신청 후 서류 제출
3. 캐시 카드형 대체 서비스
- 한도를 넘는 저장은 아니지만, 관리하기 쉬운 대체 서비스로 충전식 카드 앱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KB국민 리브 Next가 있습니다. 충전 금액 범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지만, 간편하고 예산 관리를 연습하기에 유용합니다.
4. 부모님 계좌와 연결하여 저축
- 청소년이라면 아직 독립적으로 큰 금액을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부모님 계좌를 통해 금액을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부모님 명의의 저축 계좌를 사용해도 됩니다.
- 추후 본인 명의 계좌를 열 수 있을 때, 돈을 안전하게 옮겨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한도 제한 없이 돈을 보관할 수 있으니, 장기적인 저축을 원하신다면 부모님과 상의해 보세요.
마무리
청소년 분이 직접 자신의 금융을 관리하고 저축까지 계획하는 모습이 너무 멋지네요! 😊
한도가 걸리는 금융 앱이 불편하다면 위에서 설명드린 1) 은행 방문, 2) CMA 계좌 활용, 3) 캐시 카드형 대체, 4) 부모님 계좌 활용 중 하나를 시도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