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통상임금으로 월급 얼마나 오를까?

     

     

    • 통상임금이란 개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 직장인들 사이에서 많이 화제가 되고 있는 주제인데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통상임금 적용 여부에 따라 내 월급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법적으로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반드시 지급되어야 하는 기준 임금입니다. 주휴수당, 상여금, 연장근로수당 등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어서, 월급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회사에서 이런 부분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근로자가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은 통상임금이 월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통상임금
    통상임금

     

     

     

    < 목   차 >

    1. 통상임금이란?
    2. 통상임금 적용 시 월급 얼마나 오를까요?
    3. 확인해야 할 사항
    4. 법 개정으로 달라진 점
    5. 마무리

     

     

    1. 통상임금이란?

     

    • 통상임금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뜻합니다. 법적으로는 퇴직금,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 휴일수당 등을 계산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기본급"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상여금, 주휴수당, 식대 등도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겁니다.
      회사가 이를 명확히 하지 않으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돈이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2. 통상임금 적용 시 월급 얼마나 오를까요?

     

    이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통상임금 적용으로 실제 월급이 얼마나 오를 수 있는지 계산해볼게요.
    사용자님이 제공해주신 정보를 기준으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현재 정보:
      • 하루 근무시간: 10.5시간 (8시간 + 2.5시간 연장)
      • 주 5일 근무로 주 52.5시간
      • 기본급: 2,267,650원 (주휴수당 포함)
      • 상여금: 2개월마다 120만 원
      • 식대: 월 10만 원

    ① 연장근로수당 계산

     

    연장근로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현재 제공된 시급은 10,850원인데요, 이를 기준으로 연장근로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주당 연장근로시간: 2.5시간 × 5일 = 12.5시간
    • 연장근로수당: (10,850원 × 1.5배) × 12.5시간 = 203,437.5원
    • 월 기준 연장근로수당: 203,437.5원 × 4.3주 = 874,781원

    ② 상여금 포함 여부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된다면 월급 상승폭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상여금 120만 원을 2개월로 나누면 월 60만 원
    • 기본급 + 상여금: 2,267,650원 + 600,000원 = 2,867,650원

    ③ 최종 월급 계산

     

    이제 모든 항목을 더해볼게요.

    • 기본급 + 주휴수당: 2,267,650원
    • 상여금: 600,000원
    • 연장근로수당: 874,781원
    • 총 월급: 2,267,650 + 600,000 + 874,781 = 3,742,431원

    결과적으로, 통상임금이 올바르게 적용된다면 현재 월급에서 약 1,474,781원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확인해야 할 사항

     

    "그럼, 제가 통상임금을 제대로 받고 있는 걸까요?"라는 질문이 떠오를 수 있는데요, 확인해야 할 몇 가지 포인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근로계약서 확인하기
    근로계약서에 통상임금과 관련된 명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없을 경우, 회사에 문의하셔야 합니다.

     

    상여금 포함 여부
    상여금이 정기적이고 고정적으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회사에 따라 이를 제외하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아, 꼼꼼히 따져보셔야 합니다.

     

    연장·야간근로수당 확인하기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이 제대로 지급되고 있는지 임금명세서를 확인해보세요. 통상임금이 정확하지 않다면, 이 수당 계산도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법 개정으로 달라진 점

     

    • 2025년부터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항목에 대한 법적 기준이 명확히 변경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정기적이고 고정적인 상여금이나 수당은 통상임금으로 간주되며, 이를 기준으로 추가적인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이런 법 개정은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지만, 모든 회사가 이를 바로 적용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회사 측에 근로계약서 재작성 요청을 하거나, 문제가 있을 경우 노동청에 신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5. 마무리

     

    통상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근로자의 권리와 직결된 중요한 개념입니다. 월급 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법적 기준과 계산법을 이해하면 더 이상 어렵지 않습니다.
    지금 본인의 월급이 제대로 계산되고 있는지 꼭 확인해보시고, 문제가 있다면 회사에 문의하거나 전문가와 상의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통상임금으로 월급 얼마나 오를까?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