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티빙 계정 공유 제한 총정리
- 티빙 계정 공유가 가족끼리만 가능하도록 변경됩니다. IP 기준 공유 제한, TV 기기 감지, 휴대폰·노트북은 가능한지 등 주요 변화와 예외 조건을 정리해드립니다.

티빙 계정 공유 제한, 어디까지 가능한 걸까?
최근 넷플릭스를 시작으로 국내 OTT들도
계정 공유에 대한 기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티빙(TVING)은 2025년부터 가족 간 공유만 허용하는 정책으로
점차 시스템을 바꿔가고 있죠.
하지만 “가족끼리만”이라는 기준이 애매하다 보니
많은 분들이 TV는 안 되고, 폰은 되나?
IP 다른 집이면 무조건 차단인가? 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더라고요.
이번 글에서는 티빙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의 핵심 변화와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막히고, 어떤 경우는 가능한지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계정 공유, 가족끼리만 가능?
티빙은 공식적으로 “가족 간 동시 시청은 가능, 비가족은 제한” 이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즉, 한 집(같은 주소) 안에서 사용하는 걸 ‘가족’ 기준으로 삼는 셈이죠.
다만, 주민등록상 가족인지 여부를 따지지는 않고
IP 주소, 접속 위치, 기기 패턴을 통해 판단합니다.
✅ 어떤 조건에서 막히나요?
티빙은 아래 조건을 통해 계정 공유 여부를 감지하고 제한합니다.
1. IP 주소가 다를 경우
가장 기본이 되는 판단 기준은 IP 주소입니다.
서로 다른 지역, 다른 인터넷망에서 접속할 경우
다른 장소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스마트TV로 접속한 경우
TV는 고정 IP + 큰 화면 + 장시간 시청이 특징이라
가장 먼저 차단 대상이 됩니다.
지방에 있는 부모님 댁에서 TV로 접속하면 거의 바로 감지됩니다.
3. 접속 위치가 자주 바뀌는 경우
계정 하나로 서울 → 부산 → 대전 등 위치가 자주 바뀐다면
이상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어요.
✅ 어떤 상황은 아직 괜찮나요?
✅ 폰, 노트북, 태블릿은 여전히 사용 가능
현재까지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접속은
크게 제한하지 않고 있습니다.
- LTE/5G로 접속 시 IP 추적 어려움
- 기기 자체가 개인 소지품으로 판단
단, 장기간 타지역에서 반복 접속 시 감지될 수 있음
✅ 같은 집에서 여러 기기 동시 접속
예:
- 부모님이 TV로 시청
- 자녀가 휴대폰으로 시청
👉 이런 상황은 무리 없이 가능합니다.
✅ 실제 사용자 기준 요약표
같은 집 와이파이에서 폰/노트북 접속 | 없음 | 정상 사용 가능 |
다른 지역에서 스마트TV 로그인 | 높음 | IP 추적 쉬움 |
폰으로 LTE 접속 | 낮음 | 감지 어려움 |
외부 와이파이 접속 반복 | 중간 | 이상 패턴으로 의심 가능 |
VPN으로 우회 | 매우 높음 | 계정 정지 위험 |
✅ 향후 정책 강화 일정은?
티빙은 2025년 상반기 중으로
스마트TV를 중심으로 계정 공유 차단 기능을
전면 적용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테스트 단계라 계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곧 전체 계정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리포트: 실사용자 팁
✔️ 공유하실 경우에는 되도록 모바일 중심 사용을 권장드려요.
✔️ TV에서는 최대한 한 IP에서만 로그인하세요.
✔️ 외부 접속은 짧게, 자주 로그아웃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마무리 정리
티빙 계정 공유는 완전히 막힌 건 아니지만,
2025년을 기점으로 TV 기기 및 IP 기반 감지가 본격화됩니다.
다른 집에 사는 가족이라도
TV로 연결되면 차단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바일 중심, 같은 공간 사용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앞으로도 티빙·넷플릭스 등 OTT 계정 정책은 계속 바뀔 수 있으니
정기적으로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